“엄마 아빠, 놀이터 가자!”
요즘 우리 아이가 가장 자주 하는 말이다.
베를린에는 놀이터가 정말 많다. 놀이터는 독일어로 Spielplatz (슈피엘플라츠)라고 하는데 직역하면 ‘놀이 장소’라는 뜻이다. 아래 지도에서 보듯 구글 맵에서 검색되는 집 근처 놀이터만 해도 스무 곳이 넘는다. 물론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작은 놀이터들도 많다. 골목을 걷다가 새로운 놀이터를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독일에 온 지 약 2주가 지났는데 그동안 아이와 놀이터를 스무 번은 간 것 같다. 하루에 두 번, 혹은 그 이상 간 날도 있었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독일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일지도 모르겠다.

주말에 직장 동료들에게 뭐할 거냐고 물으면 아이와 놀이터에 갈 거라는 대답이 심심찮게 들린다. 그리고 직장에사 베를린의 어느 놀이터가 좋은지 공유하는게 대화의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 놀이터가 독일 사람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공간인지 실감하게 된다. 지난 2주간 독일 놀이터를 다니며 느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해보려 한다.
1. 모래가 가득한 놀이터
독일의 거의 모든 놀이터는 ‘모래 놀이터’다. 아직까지 우리가 가본, 혹은 지나친 모든 놀이터가 모래로 덮여 있었다. 한국이나 미국에서도 오래된 아파트 단지나 공공시설 일부에서는 모래 놀이터를 찾아볼 수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미국에서는 주로 우드칩, 한국에서는 재활용 고무 매트를 바닥재로 사용한다.
과거에는 한국과 미국에서도 모래 놀이터가 많았지만, ‘안전’을 이유로 점차 우드칩이나 고무 매트로 바뀌었다고 한다 (출처). 그런데 독일에서는 여전히 모래가 중심이다. 장난감 가게나 문구점에 가면 모래놀이 장난감이 가장 잘 팔린다는 것도 그 영향일 것이다.
놀이터에 가면 아이들이 저마다 바구니 가득 자기 모래놀이 장난감을 들고 와서 펼쳐놓는다. 우리 아이도 처음엔 어색해했지만 지금은 누구보다도 열심히 모래놀이를 즐긴다.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가 놀이터에서 돌아올 때마다 옷이 엉망이 되는 게 처음엔 꺼려졌지만 아이가 신나게 노는 걸 보면서 이젠 별로 신경 쓰지 않게 됐다.
나 역시 어린 시절 모래 놀이터에서 뛰놀던 추억이 있는 세대로서 반가운 기분이 든다. 물론 모래는 미끄럽고 위생적인 걱정도 있지만, ‘안전’이라는 이유로 아예 놀이터에서 모래를 없애버리는 것이 오히려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누릴 수 있는 놀이 경험을 하나 없애는 건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2. 위험 천만한 독일의 놀이터
독일의 놀이터에는 정말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있다. 한국처럼 정형화된 놀이기구가 아니라 놀이터마다 각기 다른 개성과 구조를 갖추고 있어 보는 재미도 있다. 그런데 어떤 놀이기구를 보면 ‘이걸 정말 아이들이 타라고 만든 걸까?’ 싶을 정도로 높고, 가파르고, 위험해 보이는 것들도 있다.
알고 보니 이런 구조는 독일의 교육 철학과 관련이 있었다. 독일 놀이터는 아이들이 도전적인 구조물을 스스로 극복하며 위험을 배우고 성취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출처). 실제로 우리 아이도 처음엔 놀이터에 있는 기구들을 타는 것을 무서워했지만 다른 아이들은 어떻게 타는지를 유심 관찰하기도 하고 또 직접 하나씩 도전해보면서 성취감을 느끼는 모습이 보였다. 아이의 신체적인 자신감도 함께 자라나는 것을 보면서 부모로서도 ‘아하’ 하는 깨달음이 있었다.


3. 부모가 함께 놀아주지 않는 놀이터
또 하나 인상 깊었던 점은 대부분의 부모들이 아이들의 놀이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놀이터에 도착하면 부모들은 벤치에 앉아 책을 보거나 다른 부모들과 대화를 나눈다.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논다.

심지어 아이들끼리 다툼이 생겨도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면 부모가 개입하지 않는다. 한 번은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의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가볍게 다툰 적이 있었는데, 우리가 개입하고 미안하다고 사과하자 그 부모는 오히려 “괜찮아요, 아이들끼리 해결하게 놔두세요”라고 말했다. 처음엔 낯설었지만 이곳에서 우리도 부모로서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아직 우리 아이는 독일어가 익숙하지 않아 친구들과 어울리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종종 통역자 역할을 하며 옆에서 도와준다. 아직 다른 부모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을 만큼 언어가 되지 않아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우리도 천천히 이 문화에 적응해가고 있다.
놀이터에 열심히 다니기 시작하면서 무엇보다도 놀라운 변화는 아이가 더 이상 유튜브나 영상을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신체를 써서 뛰어노는 놀이가 아이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낀다. 놀이터는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아이가 자라고 배우고 사회성을 익히는 살아있는 배움터라는 생각이 든다.
'Dan in Ber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를린 정착기 3] 독일은 친환경 국가일까? (0) | 2025.05.08 |
---|---|
[베를린 정착기 2] 독일, 아이들의 천국 (1) | 2025.04.29 |
[베를린 정착기 1] 베를린 입국 (3)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