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는 국가의 명령에 항상 복종해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 - 그리스도인을 포함하여 - 이 있지만, 중요한 기독교 사상가 가운데 이런 견해를 견지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그 누구도 권세에 복종하라는 로마서 13장에 나오는 바울의 가르침을 이런 식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오히려 국가가 우리에게 하나님의 법에 어긋하는 것을 하라고 요구하면, 우리로서는 국가에 불복종하는 것이 허용될 뿐 아니라, 그럴 의무가 있다고 모두가 한 목소리로 말한다. 우리는 사람보다 하나님께 순종해야 옳다는 말이다. 


종교개혁자들의 주목을 끌었던 상황은 국가가 어떤 사람에게 하나님의 뜻에 반대되는 그 무엇을 시킨 경우가 아니라, 국가가 신민이 보기에 하나님의 법에 상반되는 일을 행하는 경우였다. 이 경우에도 상당 부분 의견이 일치했다. 마침에 모두가 내린 결론은, 법에 대한 불복종과 폭력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한, 그런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것이 허용될 뿐 아니라 심지어 그럴 의무조차 있다는 것이다. 정권을 바꾸는 일이나 법과 제도를 개혁하는 일마저도 말이다. 


마침내는 불복종과 폭력의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되었다. 처음에는 종교개혁자들은 저항은 하되 시민 불복종의 형태나 폭력은 없어야 한다고 말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들은 윤리적으로 정부에게만 폭력이 허용된다고 믿었기 때문에 불의를 참고 견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핍박에 관해 깊이 성찰한 끝에 결국 그들은 정치 권력을 쥔 자가 모두 정당하게 권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특히 국민에게 "잔학하고 악명 높은 상처"를 주며 자기 권한을 벗어나는 행위를 한 관료는 합법적 공권을 상실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런 이들은 "자동적으로 스스로를 흉악한 사적 시민의 지위로 전락시킨 것이었다." 그는 더 이상 우리에게 복종을 요구할 권한이 없다. 처음에 종교개혁자들은 그런 경우 정치적 직책을 가진 다른 사람들 - "그보다 낮은 행정관"이나 "국민의 치안관" - 이 그 범죄자를 규제하는 것이 윤리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후, 스코틀랜드와 영국의 칼뱅주의자들은 사적인 시민들도 때로는 불경하게 폭정을 휘두르는 지배자에 대항해 무기를 들고 법을 위반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니, 때로는 시민이 그렇게 할 의무가 있다고까지 주장했다. 


...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저항 운동의 폭력보다 정부가 휘두르는 폭력을 훨씬 더 너그럽게 보아 준다. 피로 얼룩진 금세기에 저항 운동이 저지른 폭력과 정부가 휘두른 폭력을 비교해 보면 전자가 거의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약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렇게 된 것은, 정부가 아무리 최악의 폭력을 휘두르더라도 어쨌든 권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자들은 이러한 생각에 단호히 도전한다. 잔학하고 악명 높은 상처를 입히는 정부는 그 합법성을 상실한 것이고, 그런 정부의 관료들은 범죄를 저지른 민간인의 지위를 가질 뿐이라고 말이다. 이런 결론이 옳다면, 정부와 저항 운동 간의 적대 관계를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은, 민간인 편에서 폭력에 대해 폭력으로 대응하는 일이 과연 정당화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만일 교회가 사회적 세계에 등을 돌리지 않고 그것을 개혁하는 일이 자기 소명임을 분명히 깨닫는다면, 그런 불의와 폭정과 권리 박탈에 대항하여 적극적으로 싸우는 기관이 될 수 있을까?


... 일부 교회는 나치 독일에서 그랬던 것처럼 남미와 폴란드에서 이미 주요 저항 세력이 되었다. 하지만, 그 교회의 행동은 단지 인간적 공감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사랑의 행동을 하도록 우리를 부르고 그런 행동이 결코 허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을 주는, 우리의 존재 바깥에서 오는 말씀에 근거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는, 우리의 존재 바깥에서 오는 능력으로부터 힘을 공급 받는다. 그들은 민족들을 초월하는 한 공동체의 지원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에 대해 실망하기 쉽다. 샬롬이 충만한 하나님의 나라가 단지 교회 교인들이 하는 활동에만 달려 있다고 생각하지 마자. 그러나 교회가 오랜 암흑의 세월을 지나오면서, 그래도 새 날을 가리키는 인상적인 표지이자 성례로 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하나 있다. 역사 속에서 늘 성경을 전하는 일꾼 역할을 해온 것이다. 그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인 나사렛 예수를 가리켜 보여 주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교회는 그 심부름꾼이 타락했을 때라도 그 말씀을 증언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회는 자기도 놀랄 만큼의 저항과 소망의 씨앗을 심었다.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중에서    -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부모는 “아이들”이란 그 한마디에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슈퍼맨이다. 부모들이 팽목항에서 차디찬 바다를 바라볼 뿐 아이들을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과 정부가 아이들을 구조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의 그들의 절망은 그 누구도 형용할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진도 바다에서 죽었다. 그 사람들은 우리 국민들이다. 그 국민들이 국가의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 때 국가는 구조의 손길을 내밀지 못했고 세월호는 침몰하였다. 우리를 더욱 아프게 하는 것은 그 국민들의 대부분이 고등학생들이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무기력한 마음과 구하지 못한 죄책감을 표출하고 있다. 정부의 무능력에 분노하기도 한다. 무기력과 죄책감 그리고 분노는 두시간 동안 침몰하는 세월호를 바라보았던 이들이 가질 수 있는 정당한 감정이며, 이러한 국민감정은 존중되어야 한다. 삼면이 바다인 국가의 국민으로서 바다는 평화롭기를 원했다. 그래야 분단된 반도가 평화로울 것이라고 믿었다. 대선 당시 북방한계선에 대한 논쟁으로 이득을 본 이 정권이 반도의 바다에서 더 이상 국민을 잃지 않기를 기원했다. 그러나 우리의 바다에서 아이들을 잃었다. 세월호 참사의 초점은 사건 당일 마른 땅 위에 두 발 딛고 서 있는 정부의 그 어느 누구도 죽음을 각오하고 물속으로 뛰어들어 아이들을 구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에 있다.

NLL과 세월호 참사가 각각 상징하는 것

세월호 참사는 국가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 안전보장의 포괄적 실패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참사는 우리에게 중요한 화두를 던진다. 연간 34조원을 국방비로 사용하는 국가가 자국의 앞바다에서 300여명의 국민이 수장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출하지 못하였다. 이는 곧 국가가 바로 눈앞에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현존하는 객관적 위협이다. 그러나 북한의 핵 개발로 인해 대한민국 국민의 목숨이 희생된 적은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한순간 국민 300여명의 목숨을 지키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한테 안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헌법 69조는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다음의 선서를 한다.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국가의 최고 통치권자의 첫째 의무가 바로 “헌법 준수”와 “국가 보위”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여기서 국가 보위는 바로 안보를 의미한다. “국가를 보위한다”라는 대통령 취임 선서를 “국민 앞에 엄숙히” 거행하는 이유는 바로 국민이 1차 주권기관이기 때문이다.

안보는 ‘안전보장’이란 뜻이다. 객관적으로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위협의 부재 상태가 “국가의 안전이 보장된 상태”라는 뜻이다. 안보정책은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생활방식을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은 세금을 국가에 납부하고 안전보장이라는 가장 기초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안보는 통상 타국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영토와 주권을 보호하는 것을 일반적 개념으로 사용하였고 이를 ‘전통 안보’라고 정의한다. 한편, 안보를 넓게 정의하는 ‘비전통 안보’라는 개념도 있다. 군사적인 것 이외의 비군사적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생활방식을 보호하는 국가의 행위를 비전통 안보라고 한다. 즉, 전쟁 이외에 인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재난, 범죄, 환경변화 등으로부터 인간의 존엄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비전통 안보라고 한다. 비전통 안보는 국가가 보호해야 할 국민의 존엄이 강제적으로 공격받을 두려움이 없는 상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통 안보와 비전통 안보를 합쳐 포괄안보라고 지칭한다.

1999년 6월15일 제1연평해전에서 해군 장병 7명이 부상을 당했다. 2002년 6월29일 제2연평해전 때 6명이 전사하였으며 19명이 부상당했다. 2010년 3월26일 천안함 침몰사건 때는 해군 장병 40명이 전사하고 6명이 실종되었다. 2010년 11월23일 연평도 포격사건에선 해병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지난 15년간 북방한계선 부근에서 발생한 북한과의 교전과 분쟁으로 인한 대한민국 국군 장병 사상자 수는 사망 48명, 실종 6명 그리고 부상 42명이다. 그리고 2014년 4월16일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 세월호의 사망자 수는 300명을 넘을 것이다. 국가 안보를 위해 자신의 소중한 목숨을 희생한 장병들과 이번 세월호 참사에 자신의 생을 마감한 이들의 공통점이 있다. 이들 모두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것이다.

북방한계선(NLL)이 전통 군사안보를 상징한다면, 세월호 참사는 비전통 안보를 상징한다. 따라서 “피와 죽음으로 사수하라”는 엔엘엘의 바다와 여객선이 평화롭게 다니는 진도 앞바다는 똑같이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지켜야 할 바다이다. 대한민국은 약 34조원을 국방비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세계 12번째 많은 군사비를 사용하는 것이며, 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 다음이다. 이는 북한과의 적대적 분단이 초래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현실적 전통 안보가 강조되는 환경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북한의 핵, 미사일, 국지도발, 무인기와 같은 전통 안보에 몰입되어 있었던 사이, 우리 해역에서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국민들의 생명이 산화되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포괄안보에 구멍이 난 것이다. 포괄안보의 관점에서 전쟁으로 잃는 군인의 목숨과 평시 재난사고로 인해 지키지 못한 국민의 생명은 동등하게 소중하다.

문제는 이 정부의 안보관이 매우 구태의연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대통령을 안보문제에 관해 직접 보좌하면서 중장기적인 안보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위기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이 정부 출범과 함께 발족하였다. 그러나 청와대는 세월호 참사 초기에 국가안보실은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며 사고 수습 과정에서 발을 뺀다. 즉 개념적으로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안보관은 전통 안보만을 담당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좀 이상한 사실 앞에 우리는 당황스러워진다. 정부는 2013년 8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제정했고, 재난 업무의 총괄을 안전행정부에 맡긴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의 위기 대응 매뉴얼의 재난 컨트롤타워는 ‘청와대 국가안보실’로 되어 있다. 더욱이 국무총리실은 2013년 말 국가안보실에 ‘총체적인 국가 재난관리체계 강화 과제’의 이행실적이 좋다고 “가장 우수” 등급을 주었다. 실질적으로 박근혜 정부는 정부조직 차원에서 전통 안보와 비전통 안보를 구분하였지만 개념적으로는 여전히 국가안보실이 비전통 안보까지 관할한다는 뜻이다. 여전히 혼동스럽기는 하다.

세계 12번째, 연간 34조 군사비
북한 핵, 미사일, 무인기 같은
전통안보에 몰입돼 있던 사이
진도 해역서 어처구니없는 희생
포괄안보에 구멍이 난 것이다

안보 개념에 관한 최신 논의는
전통적 안보에서 복지·안전에
비중 두는 비전통안보로 확대
한데 안보계통 정책결정권자들이
군 장성 출신이라 깜깜한 걸까

패트리엇 미사일 비용을 생각하면…

결국 국가가 전시는 물론 평시에도 국민의 안전보장에 대처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이번 참사 중에 국가안보실이 보여준 ‘안보’와 ‘안전’이 다르다는 발언과 청와대가 국가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라는 주장은 사실상 정부의 헌법적 의무인 비전통 안보에 대한 안이한 의식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더욱이 이는 현재 국제적으로 진행되는 “국가안보란 무엇인가”라는 최신 논의에도 어긋난다. 아마 이 정권의 주요 안보계통 정책결정권자들이 군 장성 출신들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지도 모르겠다. 안보의 개념에 관한 최신 논의는 현재 국가의 영토와 주권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 안보에서 인간의 복지나 안전 문제에 비중을 두는 비전통 안보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즉, 국가의 주권이 존중되는 국제 정치환경을 고려할 때, 국가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인명 손실과 일상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도 국가의 의무라는 것이다.

더욱이 비전통 안보의 핵심은 바로 인간의 존엄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간안보라는 것이 국제적 상식이다. 국가의 주권과 영토가 온전히 보전되고 있다 하더라도 국민의 온전한 일상이 국가의 내치력 부족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경우 이 역시 안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즉, 국가간 발생하는 군사적 전쟁과 분쟁 이상으로 홍수, 지진, 가뭄과 같은 재난,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안전사고, 대규모 전염성 질병, 그리고 환경오염 등도 인간의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안보 개념은 1994년 유엔개발계획(UNDP)이 발행한 ‘인간개발보고서’(the 1994 Human Development Report)가 발표되면서 사실상 비전통 안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인간안보가 경제, 식량, 보건, 환경, 개인, 공동체 그리고 정치적 안보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시한다. 인간안보는 인간의 안전과 존엄성 그리고 권리를 위협하는 요소들을 안보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최근 유엔은 “국가는 인간안보를 실현할 유일한 행위자”라고 규정하기도 하였다. 곧, 국가는 시민들의 일상을 갑작스럽고 고통스럽게 파괴하는 위협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과 대응을 강조하는 사이, 시민의 안전과 일상의 보호를 같은 수준에서 평가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즉, 적대적인 분단 상황에서 국가의 존립과 개인의 존엄 사이의 간극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이 세월호 참사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이 발사할지도 모르는 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패트리엇 미사일에 1조3천억원을 투입해야 하고 차기 전투기 도입 사업에 9조원 이상의 예산을 쏟아부어야 하지만, 국민의 목숨을 현장에서 구조해야 하는 소방방재청 예산은 6400억원, 해양경찰청 예산은 1조1136억원에 불과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처해 있는 포괄안보의 민낯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규범은 바로 시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와 민주정부의 본질이어야 하며, 국가는 이를 위해 상당량의 재원과 자원을 투자해야 한다. 따라서 국민은 자신의 생명이 위급할 때 국번 없이 전화번호 119를 돌린다. 국가가 최대한 빨리 몇분 안에 자신을 구조 및 구난해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 기대감이 국민이 일상을 온전하게 살 수 있는 근간이며 국민이 세금을 국가에 평생 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국가는 재난 발생 후 인명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시간대인 “골든타임” 내에서 언제든지 출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마치 북한이 공격할 경우 바로 우리 군이 대응해야 하는 원칙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세월호 참사 당일 국가가 구조해주기를 기대했던 국민들은 세월호에서 119를 돌렸다. 그러나 당일 국가가 보여준 행태는 침몰해가는 세월호의 국민이 오히려 차분했다고 할 정도로 우왕좌왕했고 결국 너무 많은 국민이 죽은 것이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만 억지하면 뭐하나

정부의 행태는 반드시 등장하여 구조해야 할 시간대인 골든타임을 초과하는 무능함을 보였다. 이는 전통 안보 차원에서 북한군에게 우리 영토 일부를 내준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청와대는 이 모든 것의 컨트롤타워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는 마치 북한과의 교전 시 국방부만 주무부서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 더욱이 위기 상황에서 국가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대통령은 전지적 작가 시점의 화법으로 실무자와 과거 정부를 탓했다. 특히 국가개조와 총체적 부실과 같은 헛구호를 남발하였다. 결국, 세월호 침몰 당시, 국민을 구조해야 할 국가가 없었다는 것이 세월호 참사의 핵심인 것이다.

세월호 참사가 우리에게 던져준 화두는 바로 정권을 바라보는 위기대응이 아닌 국민을 바라보는 위기대응 체계를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재난사고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참사가 예전의 참사와 같이 책임자를 엄벌하는 선에서 종식된다면 다시금 제2의 세월호 참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북한의 위협을 억지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언정,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 많은 국민을 잃을 수 있는 위협 속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이 정부는 대한민국의 안보관을 기존의 군사안보와 함께 비전통 안보인 인간안보를 소중히 여기는 포괄안보로 확대시켜야 한다. 이는 국민의 생명을 소중히 여겨야 할 국가의 의무이며 세월호에서 산화한 우리 아이들의 마지막 명령이다.

최종건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작권: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637385.html>

Why Modern Relationships Are Falling Apart So Easily Today

Why are relationships so hard today? Why do we fail at love every time, despite trying so hard? Why have humans suddenly become so inept at making relationships last? Have we forgotten how to love? Or worse, forgotten what love is?

We’re not prepared. We’re not prepared for the sacrifices, for the compromises, for the unconditional love. We’re not ready to invest all that it takes to make a relationship work. We want everything easy. We’re quitters. All it takes is a single hurdle to make us crumble to our feet. We don’t let our love grow, we let go before time.

It’s not love we’re looking for, only excitement and thrill in life. We want someone to watch movies and party with, not someone who understands us even in our deepest silences. We spend time together, we don’t make memories. We don’t want the boring life. We don’t want a partner for life, just someone who can make us feel alive right now, this very instant. When the excitement fades, we discover nobody ever prepared us for the mundane. We don’t believe in the beauty of predictability because we’re too blinded by the thrill of adventure.

We immerse ourselves in the inconsequentials of the city life, leaving no space for love. We don’t have time to love, we don’t have the patience to deal with relationships. We’re busy people chasing materialistic dreams and there’s no scope to love. Relationships are nothing more than convenience.

We look for instant gratification in everything we do – the things we post online, the careers we choose, and the people we fall in love with. We want the maturity in a relationship that comes with time, the emotional connect that develops over years, that sense of belonging when we barely even know the other person. Apparently, nothing’s worth our time and patience – not even love.

We’d rather spend an hour each with a hundred people than spending a day with one. We believe in having ‘options’. We’re ‘social’ people. We believe more in meeting people than getting to know them. We’re greedy. We want to have everything. We get into relationships at the slightest attraction and step out, the moment we find someone better. We don’t want to bring out the best in that one person. We want them to be perfect. We date a lot of people but rarely give any of them a real chance. We’re disappointed in everyone.

Technology has brought us closer, so close that it’s impossible to breathe. Our physical presence has been replaced by texts, voice messages, snapchats and video calls. We don’t feel the need to spend time together anymore. We have too much of each other already. There’s nothing left to talk about.

We’re a generation of ‘wanderers’ who wouldn’t stay at one place for too long. Everyone is commitment phobic. We believe we’re not meant for relationships. We don’t want to settle down. Even the thought of it is scary. We cannot imagine being with one person for the rest of our lives. We walk away. We despise permanence like its some social evil. We like to believe we’re ‘different’ than the rest. We like to believe we don’t conform to social norms.

We’re a generation that calls itself ‘sexually liberated’. We can tell sex apart from love, or so we think. We’re the hook-up-break-up generation. We have sex first and then decide if we want to love someone. Sex comes easy, loyalty doesn’t. Getting laid has become the new getting drunk. You do it not because you love the other person, but because you want to feel good. It’s all the temporary fulfillment we need. Sex outside relationships isn’t a taboo anymore. Relationships aren’t that simple anymore. There are open relationships, friends with benefits, causal flings, one-night stands, no strings attached – we’ve left very little exclusivity for love in our lives.

We’re the practical generation who runs by logic alone. We don’t know how to love madly anymore. We wouldn’t take a flight to a far-off land just to see someone we love. We’d break up because, long distance. We’re too sensible for love. Too sensible for our own good.

We’re a scared generation – scared to fall in love, scared to commit, scared to fall, scared to get hurt, scared to get our hearts broken. We don’t allow anyone in, nor do we step out and love anyone unconditionally. We lurk from behind walls we’ve created ourselves, looking for love and running away the moment we really find it. We suddenly ‘cannot handle it’. We don’t want to be vulnerable. We don’t want to bare our soul to anyone. We’re too guarded.

We don’t even value relationships anymore. We let go of the most wonderful people for ‘the other fishes in the sea.’ We don’t consider them sacred anymore.

There’s nothing we couldn’t conquer in this world, and yet, here we are ham-fisted at the game of love – the most basic of human instincts. Evolution, they call it.

By Ankush Bahuguna from MENSXP

저작권: MENSXP <http://www.mensxp.com/relationships/relationship-problems/29380-why-modern-relationships-are-falling-apart-so-easily-today.html>

아이비리그 대학 캠퍼스 풍경이 달라졌다. 새로 지어지는 건물은 예외 없이 과학과 공학, 또는 융복합 분야이며, 학생들의 구성도 팔방미인 백인에서 다국적 과학영재로 바뀌고 있다. 인문교육의 전당이자 서구 학문적 전통의 자존심인 아이비리그 대학들은 이제 과학기술의 메카로 탈바꿈 하고 있다. 지난 십 년간 이공계열 학생수가 크게 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미국 전체 대학 평균은 이와 다르다는 것이다. 이공계 전공 비율이 지난 십 년간 다소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과목을 신청했다가 드롭하는 비율이 높고 대학교육 자체도 중도에서 포기하는 사례도 많다고 한다. 가정환경이 어려울수록 STEM교육에 불리하다는 데이터도 있다.

우리는 양극화의 심화를 눈 앞에 보고 있다. 편중된 과학기술교육에의 접근은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양극화의 주범이 기술이기 때문이다. 고급기술에 접할 수 있는 소수의 엘리트와 그렇지 못한 대중간의 생산성 격차는 더욱 격화될 것이다. 이에 따른 소득의 격차도 커져만 갈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런데 한국의 상황은 특이하다. 서울대 연대 고대 소위 SKY대학으로 대표되는 상위 대학 학생들이 과학기술분야를 기피한다. SKY대학에서 이공계열 지망자가 줄어 든 폭이 전국 대학 평균보다도 높다. 우리의 엘리트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걸까? 현실은 그보다 궁색하다. ‘똑똑한’ 한국의 젊은이들은 배우기도 힘들고 성공의 보장도 없는 이공계열에 매달리기 보다는, 상경계열이나 사회계열을 전공해 정부임용고시에 합격하는 ‘안전한’ 미래를 선호한다고 한다.

미래는 실리콘 벨리가 만들고 한국의 젊은 리더들은 그들이 던져주는 미래를 가지고 국가를 잘 운영해 보겠다는 건가? 과학기술을 모르면 21세기를 선도하기는커녕 이해조차 불가능하다. 현재 295명의 대한민국 국회의원 중 단 16명 만이 과학기술 분야 출신이다. 공무원 임용고시에 과학기술 과목을 강화하지 않으면 한국의 미래는 어둡다.

미래의 리더를 보는 나의 시선이 달라졌다. 지적 신체적 그리고 사회적 능력이 골고루 발달한 잘생기고 늠름한 젊은이들이 리더였던 시대는 저문 것 같다. 21세기의 리더는 컴퓨터와 친숙하고 수학과 과학에 뛰어난 영재들이다.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부족하다 해도 문제 없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만들면 된다. 마크 져커버그, 세르게이 브린, 제프 베죠스 그리고 그들의 선배인 스티브 잡스가 그랬다.

그런데 이들 미래 리더들은 20대 초반에 자신에 관해 또는 세계에 관해 근본적인 질문을 할 시간이 없다. 배워야 할 과학기술 지식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이다. 자고 나면 새로운 발견이 나오고 매년 새로운 전공이 생겨날 지경이다. 내가 누군지, 뭘 위해 살아야 하는지, 또는 어떤 세상이 바람직한 세상인지, 사회정의란 무엇인지, 이런 질문을 하지 못한 채 마크 져커버그나 스티브 쟙스 워너비가 되어간다.

이공계를 기피하는 대한민국 인재들을 보면 답답하고 속상하다. 하지만 과학기술에 올인하고 있는 글로벌 인재들은 나를 두렵게 한다. 인간의 정체성이나 사회체제에 관한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은 채 리더쉽에 오른 이들이 세상의 온갖 뒤엉킨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낼까? 어느 날 갑자기 취득하게 된 엄청난 부와 힘을 어떻게 사용할까?

예컨대 이런 것이다. IS의 테러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된다 해보자. 미국의 리더들은 보안감시체제와첨단무기를 총동원해서 전자게임을 하듯 IS를 격퇴하려 할 것이다. 반면 한국의 리더들은 경찰관 수를 늘리고 외국인 노동자 입국을 금지할 것이다. 아무도 IS가 왜 테러를 자행하는 지 근본적인 질문을 하지 않을 것이다. 아니, 할 능력이 없다. 만약 IS가 각국의 정부를 위협할 정도로 득세한다 하자. 미국의 엘리트들은 화성으로 이주할 계획을 할 것이다. 따라가지 못하는 한국의 리더들은 IS 공화국법을 허겁지겁 제정하지 않을까? 교육이 이대로 가면 가능한 미래이다.

아트센터나비 노소영관장

저작권: Singularity 99 <http://www.singularity99.com/ko/articles/75>


+ Recent posts